분류 전체보기(91)
-
[자료구조] 평균 구하기 / 백준 1546
문제https://www.acmicpc.net/problem/1546 풀이최고점 M 으로 나눈후 100을 곱한값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수 있습니다. - 변환 점수의 평균을 구하는 식 (점수가 a,b,c인 경우)(a / M * 100 + b / M * 100 + c / M * 100) / 3 위의 식은 다시 아래와 같이 최소화 할수 있습니다.( a + b + c ) * 100 / M / 3 그냥 연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최소화 한거지만 처음 식대로 알고리즘을 짜도 문제는 없습니다. 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BufferedWriter;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O..
2024.06.16 -
html 태그 정리
html 튜토리얼 사이트 https://ofcourse.kr/html-course/a-%ED%83%9C%EA%B7%B8https://www.w3schools.com/html/html_basic.asp html에서 제목으로 사용하는 태그로 부터 까지가 있습니다.에서 까지 크기 별로 표기가 됩니다. 는 paragraph로 한문단을 뜻합니다. 사용시 한줄 전체를 차지 합니다. 안드로이드의 layout에서 view의 크기를 match_parent로 할때와 같다고 할수 있습니다. 하이퍼링크를 걸어주는 태그입니다. 태그에 대한 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href: 클릭시 이동 할 링크target: 링크를 여는 방법_self: 현재 페이지 (기본값)_self: 현재 페이지 (기본값)_blank: 새 탭_pare..
2024.06.10 -
회원관리예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회원관리 예제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회원 도메인과 리포지토리 만들기 (회원 도메인 객체를 저장하고 불러올수 있는 리포지토리)회원 리포지토리 테스트 케이스 작성회원 서비스 개발회원 서비스 테스트여기서 테스트는 junit을 사용하여 작성 합니다.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리비즈니스 요구사항은 아주 간단한 데이터로 해보겠습니다. 데이터 : 회원ID, 이름기능 : 회원등록, 조회아직 데이터 저장소가 선정되지 않음(가상의 시나리오) >> 개발자가 개발은 해야 하는데 db는 아직 안정해진 상황. 일반적인 db로 할지, 관계형 db로 할지 nosql로 할지 정해지지 않은 상황. 컨트롤러 : 웹 MVC의 컨트롤러 역할. API 만들기 등서비스 : 핵심 비즈니스 로직 구현. ..
2024.06.08 -
pc 스크롤 스크린샷, 전체화면 스크린샷
pc에서 스크롤화면일때 전체화면을 스크린샷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f12를 눌러 개발자 설정을 열어 줍니다. 개발자 설정을 열고 나서 ctrl + shift + p 를 눌러줍니다. 상단 검색에 capture라고 검색하여 Capture full size screenshot을 클릭해주면 해당 전체화면 스크린샷이 저장완료!
2024.05.30 -
reset branch 취소하기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위의 이미지처럼 원하는 commit 시점으로 코드를 reset 할수 있습니다. hard reset을 하면 아래와 같이 원하는 시점으로 코드를 돌립니다. 여기서 reset한것을 취소 하는 방법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프로젝트 경로에서 git bash를 실행해 줍니다.그리고 아래와 같이 입력해줍니다.$ git reflog commit 333으로 다시 코드를 돌려야 하기 때문에 HEAD@{5}으로 이동해줍니다.그러기위해선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입력해줍니다.git reset --hard HEAD@{5} 사라졌던 333 commit으로 다시 돌아간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2024.05.04 -
API
스프링 웹개발은 크게 3가지로 나눌수 있습니다. 정적컨텐츠 MVC와 템플릿 엔진 API 이번시간에는 API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사실 정적컨텐츠, 템플릿엔진, API중 정적컨텐츠는 많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 이 두가지를 기억해놓으면 됩니다. html로 내리는지 (템플릿엔진) 아니면 데이터로 그냥 바로 내리는지(API) 이 두가지가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아래와 같이 Controller에 코드를 추가해보겠습니다. Hello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
2024.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