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OS(11)
-
앱 아이콘 설정하기
app store 에서 asset catalog creator 다운받기앱 아이콘을 변경 하기 위해선 여러 크기로 이미지 크기를 변경하여 준비하여야 합니다. 이 번거로운 작업을 asset catalog creator 앱을 사용하여 손 쉽게 해결 할 수 있습니다. asset catalog creator 으로 아이콘 만들기아래 첨부 이미지의 이미지파일 부분에 아이콘으로 사용할 이미지를 드래그합니다.저장할 파일 경로를 지정하는데 해당 프로젝트의 Assets.xcassets파일이 있는 상위 디렉토리를 파일 경로로 지정합니다. 그러면 Assets.xcassets 파일 안에 icon 폴더에 자동으로 생성이 됩니다.경로 지정후 저장하기 버튼을 누르면 Assets폴더 안에 icon폴더가 생성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2.04.26 -
Inout 키워드
Inout 키워드 사용 목적swift에서 함수의 매개변수는 call by value 으로 복사된 값을 전달받는 방식입니다. 전달 받은 매개변수는 이름은 변수지만 상수로 쓰이므로 함수 중간에서 값을 변경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함수의 매개변수에 inout 키워드를 입력 하면 call by reference 으로 해당 변수를 가르키는 reference(메모리주소)를 전달 받습니다. 이는 함수 중간에서 값이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사용 형태func addTwoNumber(num1: Int, num2: inout Int) -> Int { // 자료형 앞에 inout을 붙인다 num2 = 5 // inout 매개변수는 함수 중간에 값이 변경이 가능하다, 7번째줄 test2가 5로 바뀐다 return num1 +..
2022.04.20 -
Argument Label
Label의 사용 목적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할때 쓰는 인자(argument)값들은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 쉽게 파악이 힘듭니다.인자값의 사용용도를 쉽게 파악 할 수 있게 함수를 생성할때 변수명 앞에 Label로 설명을 남길 수 있습니다.실제 함수 부분에선 Label대신 짧은 변수명을 사용합니다. Label 구조 형태func calculate(devideFirstNumber num1: Int, bySecondNumber num2: Int) -> Int { // devideFirstNumber, bySecondNumber가 Label return num1 * num2 // 함수 내에선 변수명 num1, num2가 쓰인다}_ = calculate(devideFirstNumber: 10, bySecondNu..
2022.04.20 -
딕셔너리 (Dictionary)
키, 밸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배열 형태로 저장 할 수 있습니다.swift의 배열은 값이 수정되면 순서가 변하게 되어 index로 값을 찾을때 원하지 않는 값이 올수 있지만, 딕셔너리는 키값만 알면 원하는 값을 가져올수 있습니다.딕셔너리에 같은 키에 밸류를 넣으면 기존의 밸류값을 지워지고 새로운 밸류값이 갱신됩니다. 같은 키는 하나밖에 존재 하지 못합니다. 딕셔너리 형태var toDoDic: Dictionary = ["1": "Play", "2": "Watch", "3": "Send"] // 기본형var Dic2 = ["4": "Lie", "5": "Talk", "6": "Cold"] // 축약형 딕셔너리 값 추가, 삭제toDoDic["4"] = "Sell" // 키 "4", 값 "Sell" 을 추..
2022.04.18 -
swift 배열 (Array)
swift는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배열 값들을 변경, 추가, 제거가 가능합니다. 배열 형태var Array: Array = ["Kim", "Tom", "Rose"] // 기본형var num: [Int] = [1,2,3] // 축약형var fruit = ["apple", "banana"] // 축약형 배열 값 변경, 추가, 제거Array[0] = "DD" // 0 index위치 변경Array.append("EE") // 마지막 부분에 추가Array.insert("FF", at: 1) // 1 index위치에 추가Array.remove(at: 1) // 1 index위치값 제거
2022.04.18